“월 70만원 × 5년 = 5천만원”
청년들 사이에 ‘인생 첫 목돈 마련 프로젝트’로 불리는 ‘청년도약계좌’가 있습니다. 이미 가입자 수가 200만명에 육박하며, 정부도 200만번째 가입자에게 특별 선물을 준비할 만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
2025년부터 가입 조건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청년들에게 기회가 열려있습니다. 연 9.6% 기대수익률에 비과세 혜택까지, 이보다 더 좋은 금융상품은 없습니다.
신청방법, 기간, 자격요건, 정부지원금, 유의사항 쉽게 정리하겠습니다.
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는 정부 홈페이지가 아닌 은행에서 신청합니다. 주거래 은행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신청 후, 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에 승인 요청 -> 승인 완료 후 계좌개설 및 자동이체 등록 순으로 진행됩니다.
신청절차
1. ‘은행 앱’ 또는 ‘은행 창구’에서 신청
2. 은행은 서민금융진흥원 승인 요청
3. 승인완료 -> 계좌개설
4. 자동이체 등록 및 매월 납입
신청기간
1. 5월 : 5월 1일 (목) ~ 5월 16일 (금)
2. 6월은 접수기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가입조건
1. 나이 기준 : 만 19세 ~ 만 34세 (기본법 기준)
2. 개인소득 기준 : 연소득 7,500만원 이하
3. 가구소득 기준 : 중위소득 250% 이하
: 핵심은 가구소득 입니다. 개인소득은 적어도 부모님, 형제 소득을 합한 가구소득이 높으면 탈락할 수 있으니 반드시 주민센터나 은행에서 가구소득 산정기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: 소득산정 방식은 미리 상담 받으시길 추천 드립니다.
정부 지원금과 혜택
1. 혜택 요약
1) 매월 최대 70만원 납입 -> 5년 후 최대 5천만원 수령
2) 본인 납입금 + 정부 기여금 + 이자 포함
3) 기대 수익률 약 9.6%
2. 정부 기여금 조건
1) 매달 꾸준히 납입해야 지급
2) 해당 월을 건너뛰면 그 달 정부 기여금은 소멸
3) 납기일 며칠 지연은 괜찮지만, 해당 월을 넘기면 불가합니다.
가입 유의사항
1. 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 해지 시 일부 혜택 유지
1) 2025년부터 3년 유지 후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 + 정부지원금 60% 지급
2) 예전에는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 환수 + 과세 적용
2. 목돈 마련 전략
1) 청년주택드림청약계좌와 병행하면 주거, 결혼, 창업 자금까지 한번에 준비 가능
2) 월 소득, 지출 계획을 미리 세워 꾸준히 납입할 수 있도록 자동이체 활용
3. 은행별 혜택 비교
1) 일부 은행에서는 추가 금리, 이벤트 혜택 제공합니다.
2) 주거래 은행과 비교해보고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마무리
1. 청년도약계좌는 재테크의 출발점으로,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
2. 승인, 계좌개설, 납입의 과정을 거치면서 목돈을 만드는 경험을 하시기 바랍니다.